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기초 지식(for algorithm)

(3)
Python(파이썬) -Counter 클래스 Counter 클래스는 collections 모듈을 이용해서 별도 패키지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함수이다. 여러 형태의 데이터를 인자로 받을 수 있으며 각 원소가 몇 번씩 나오는지 알려주는 함수이다. Counter 함수 사용 방법 1. >>> Counter(["hi", "hey", "hi", "hi", "hello", "hey"]) Counter({'hi': 3, 'hey': 2, 'hello': 1}) Counter 클래스에 인자로 리스트를 넣을시 리스트 내부에서 몇번 나왔는지 출력된다. 2. >>> Counter("hello world") Counter({'h': 1, 'e': 1, 'l': 3, 'o': 2, ' ': 1, 'w': 1, 'r': 1, 'd': 1}) Counter 클래스에 인자..
Python(파이썬) -split() 개념 split()의 경우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눈 뒤, 리스트 형태로 반환하는 함수이다. 길이가 긴 문자열에 ,와 같은 특정 패턴이 있을 경우 사용한다. split() 함수 사용 방법 1. 문자열.split() 2. 문자열.split('구분자') 3. 문자열.split('구분자',분할 횟수) 4. 문자열.split(sep='구분자',maxsplit=분할 횟수) 1. 문자열.split() 문자열.split() 사용시 띄어쓰기 또는 개행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눠준다. S='python is easy' result=S.split() print(result) >['python','is','easy'] 2. 문자열.split('구분자') 파라미터로 구분자를 넣을 시 구분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눠준다...
Python(파이썬) -String strip(), rstrip(), lstrip() 개념 파이썬에서 strip을 사용시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를 제거할 수 있다. 파이썬의 경우 String은 다음 함수를 제공한다. 1. strip([chars]): 인자로 전달된 문자를 String의 왼쪽과 오른쪽에서 제거한다. 2. lstrip([chars]): 인자로 전달된 문자를 String의 왼쪽에서 제거한다. 3. rstrip([chars]): 인자로 전달된 문자를 String의 오른쪽에서 제거한다. 인자를 전달하지 않을 시 String에서 공백을 제거한다. 공백 제거 인자를 전달하지 않을 시 문자열에서 공백을 제거한다 text = ' Water boils at 100 degrees ' print('[' + text.rstrip() + ']') print('[' + text.lstri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