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공부/연습 문제

이코테) 게임 개발-실전 문제

문제

캐릭터의 움직임은 다음과 같이 움직인다.

  1.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
  2.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왼쪽으로 한 칸을 전진한다. 왼쪽 방향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다면, 왼쪽 방향으로 회전만 수행하고 1단계로 돌아간다.
  3. 만약 네 방향 모두 이미 가본 칸이거나 바다로 되어 있는 칸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뒤로 가고 1단계로 돌아간다. 단, 이때 뒤쪽 방향이 바다인 칸이라 뒤로 갈 수 없는 경우에는 움직임을 멈춘다.

메뉴얼에 따라 캐릭터를 이동 시킨 뒤에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라.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맵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한다.(3<=N,M<=50)
  • 둘째 줄에 게임 캐릭터가 있는 칸의 좌표 (A,B)와 바라보는 방향 d가 각각 서로 공백으로 구분하여 주어진다. 
  • 방향 d의 값으로는 0,1,2,3이 주어진다. 각각 북쪽, 동쪽, 남쪽, 서쪽을 의미한다.
  • 셋째 줄부터 맵이 육지인지(0) 바다인지(1)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 N개의 줄에 맵의 상태가 북쪽으로부터 남쪽 순서대로, 각 줄의 데이터는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맵의 외곽은 항상 바다로 되어 있다.
  • 처음 캐릭터가 위차한 칸의 상태는 항상 육지이다.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이동을 마친 후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한다.

입력

4 4
1 1 0
1 1 1 1
1 0 0 1
1 1 0 1
1 1 1 1

 

출력

3

 

생각

책의 파트 자체가 시뮬레이션이라고 해서 처음에는 구현으로 만들어보려고 했다.

그러나 구현으로 만들자니 내 실력으로는 구현이 힘들었고, 결국 방문한 칸 수를 구하는 문제이기에 bfs로 풀었다.

 

내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m = map(int, input().split())
startX, startY, direction = map(int, input().split())
data = []
for _ in range(n):
    data.append(list(map(int, input().split())))
dx = [-1, 0, 1, 0]
dy = [0, 1, 0, -1]


def bfs(x, y):
    queue = deque()
    queue.append((x, y))
    data[x][y] = 1
    cnt = 1
    while queue:
        x, y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0 <= nx < n and 0 <= ny < m and data[nx][ny] == 0:
                data[nx][ny] = 1
                cnt += 1
                queue.append((nx,ny))
    return cnt


answer = bfs(startX, startY)
print(answer)

 

BFS 대표적인 방식으로 풀었다. 유사 문제로는 백준의 2178 미로 찾기가 있다.

 

다른 풀이

n, m = map(int, input().split())
startX, startY, direction = map(int, input().split())
data = [[0] * m for _ in range(n)]  # 방문한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맵
data[startX][startY] = 1
array = []  # 맵 정보 저장용 리스트
for _ in range(n):
    array.append(list(map(int, input().split())))
dx = [-1, 0, 1, 0]
dy = [0, 1, 0, -1]


def turn_left():
    global direction
    direction -= 1
    if direction == -1:
        direction = 3


count = 1
turn_time = 0
while True:
    turn_left()
    nx = startX + dx[direction]
    ny = startY + dy[direction]
    if data[nx][ny] == 0 and array[nx][ny] == 0:
        data[nx][ny] = 1
        startX = nx
        startY = ny
        count += 1
        turn_time = 0
        continue
    else:
        turn_time += 1
    if turn_time == 4:
        nx = startX - dx[direction]
        ny = startY - dy[direction]
        if array[nx][ny] == 0:
            startX = nx
            startY = ny
        else:
            break
        turn_time = 0
print(count)

 

방향을 돌리는 함수를 구현하고, 방향을 돌리면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바꾼 방향이 4번이 될 경우 돌아가보고 돌아 갈 수 없다면 종료하는 식의 구현을 했다.

느낀 점

  1. 구현력이 부족하다. 원래 책의 파트 이름과도 같이 시뮬레이션해서 구현으로 푸는 것을 기대하고 낸 문제이다. 하지만 구현력이 부족해서 BFS로 풀었다.
  2. 구현 문제의 경우 문제가 길어서 문제를 바르게 이해하여 소스코드로 옮기는 과정이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반복적인 숙달이 필요하다고 한다.

구현 문제의 경우 꾸준히 풀어서 반복적인 숙달을 하자.

'알고리즘 공부 > 연습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475-방 번호 (파이썬)  (0) 2023.11.23
백준) 1463 - 1로 만들기 (Python)  (1) 2023.10.21
백준) 1244 - 파이썬  (0) 2023.09.18
백준) 10431 - 파이썬  (0) 2023.09.07
백준) 11723 - 파이썬  (0) 2023.09.06